브리지1 [네트워크] 스패닝 트리 정리 (준비 편) -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panning Tree Protocol) - 루핑을 막하주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 Looping(뺑뺑이) - 프레임이 네트워크상에서 무한정으로 뱅뱅 도는 현상 루핑이 발생하면 다른 컴퓨터가 데이터 전송을 하지 못함.(이더넷의 특성) 스패닝 트리를 알기 위한 2가지 개념 - 브리지 ID, Path Cost -브리지 ID - 브리지나 스위치들이 서로를 식별하기 위해 하나씩 가지고 있는 번호 총 64비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앞부분 16비트는 Bridge Priority(브리지 우선순위)가 오고 나머지 48비트는 맥어드레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Bridge Priority는 0~65535까지의 값들이 올 수 있으며 디폴트는 그 중간 값인 32768입니다. -Path Cost - 한 .. 2020. 5. 1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