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twork5

[VMware] 내부 핑 안될 때(방화벽 설정) 호스트(윈도우)pc - 192.168.111.1 게스트1(리눅스)pc - 192.168.111.100 게스트2(리눅스)pc - 192.168.111.200 라고 가정하자 방화벽을 해제하지 않으면 외부로는 핑이 되지만(ex : ping www.google.co.kr) 내부pc 끼리는 핑이 안될 것이다. 방화벽 해제 방법을 알아보자 1. 윈도우(10 기준) 검색창에 "방화벽"을 검색하여 아래와 같은 창을 확인한다. 그리고 좌측에 를 클릭한다. 그리고 모두 꺼주면 된다. 결과 게스트pc에서 호스트pc로 핑이 간다. => ping 192.168.111.1 2. 리눅스(centos7 기준) systemctl list-unit-files | grep firewall 를 입력해 방화벽의 상태를 확인하자 그러면 "fi.. 2020. 8. 30.
[네트워크] 스패닝 트리 정리 (심화 편 2) 선출을 위한 4단계 비교 1단계 : Root BID 비교 2단계 : Root Path Cost 비교 3단계 : Sender BID 비교 4단계 : Port ID 비교 * 모두 낮은 값이 선출됨 첫째 - 네트워크당 하나의 루트 브리지(Root Bridge) 선출 CASE 1 스위치 A => BID = 32768.1111.1111.1111 스위치 B => BID = 32768.2222.2222.2222 스위치 C => BID = 32768.3333.3333.3333 Root Bridge => 스위치 A => BID = 32768.1111.1111.1111 이유 : BID가 제일 낮은 값임 CASE 2 만약 스위치 B를 루트 브릿지로 만들고 싶다면? 그래서 Bridge Priority(직역 : 브리지 우선순위.. 2020. 5. 25.
[네트워크] 스패닝 트리 정리 (심화 편 1) BPDU(Bridge Protocol Data Unit) - 스위치와 브리지 사이에 스패닝 트리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특수한 프레임 BPDU의 구조 Root BID 루트 브리지의 BID(초기에는 자신의 BID이다) Root Path Cost 루트 브리지까지 가는 경로값 Sender BID 보내는 브리지의 BID Port ID 어떤 포트에서 보냈는지에 대한 정보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스패닝 트리 핵심 동작 3가지 첫째 - 네트워크당 하나의 루트 브리지(Root Bridge) 선출 둘째 - 루트 브리지가 아닌 나머지 모든 브리지(Non Root Bridge)는 무조건 하나씩의 루트 포트(Root Port) 선출 셋째 - 세그먼트(Segment) 당 하나씩의 데지그네이티드 포트(Designated Port).. 2020. 5. 22.
[네트워크] 스패닝 트리 정리 (준비 편) -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panning Tree Protocol) - 루핑을 막하주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 Looping(뺑뺑이) - 프레임이 네트워크상에서 무한정으로 뱅뱅 도는 현상 루핑이 발생하면 다른 컴퓨터가 데이터 전송을 하지 못함.(이더넷의 특성) 스패닝 트리를 알기 위한 2가지 개념 - 브리지 ID, Path Cost -브리지 ID - 브리지나 스위치들이 서로를 식별하기 위해 하나씩 가지고 있는 번호 총 64비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앞부분 16비트는 Bridge Priority(브리지 우선순위)가 오고 나머지 48비트는 맥어드레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Bridge Priority는 0~65535까지의 값들이 올 수 있으며 디폴트는 그 중간 값인 32768입니다. -Path Cost - 한 .. 2020. 5. 19.